2019/2020 수능특강 영어 분석 11강 #6번
Marc Benamou, + [ studying + the use of affective terms + to describe the expressive character of music + among western and Javanese subjects ], ascertained + 《 that + some Javanese emotion terms + did not straightforwardly correspond + to + Western categories 》.
1) Marc Benamou (주어) + ascertained (동사) + 《 that + some + ~ + Western categories 》 (목적어/명사절/that)
(= Marc Benamou는 + 《 that + some + ~ + Western categories 》이라는 사실을 + 알아냈다)
2) Marc Benamou (선행사), + [ studying + the use of affective terms + to describe the expressive character of music + among western and Javanese subjects ] (형용사구)
→ Marc Benamou (선행사), + [ ( who + studied ) + ~ ] (형용사절)
→ who → (형용사절 주어) → (생략)
→ studied → (형용사절 첫 번째 동사 + ing) → studying
→ Marc Benamou, + [ studying + the use of affective terms + to describe the expressive character of music + among western and Javanese subjects ]
(= Marc Benamou는, 서양인과 자바인을 대상으로 (subjects) + 음악적인 표현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+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들의 사용을 + 연구했는 데)
3) 《 that + some Javanese emotion terms + did not straightforwardly correspond + to + Western categories 》
(= 몇몇 자바어의 감정을 표현하는 용어들은 + 서양의 분류와 +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았다)
Marc Benamou는, 서양인과 자바인을 대상으로 (subjects) + 음악적인 표현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+ 감정을 나타내는 단어들의 사용을 + 연구했는 데, 몇몇 자바어의 감정을 표현하는 용어들은 + 서양의 분류와 +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다는 + 사실을 + 알아냈다
English | Korean |
affective | 감정을 나타내는[표현하는] |
term | 용어, (특정한 뜻으로 사용되는) 말 |
describe | ~을 자세히 설명하다, ~을 묘사하다 |
expressive |
~을 표현하는, 나타내는 |
subject | 실험[연구] 대상, 피실험자 |
ascertain = determine = establish = find out |
(사실 관계/원인 등을) 정확히 알아내다, 밝히다 |
straightforwardly | 분명하게, @ 정확하게 |
▶straightforward = easy | 간단한, ((이해) 하기) 쉬운; 복잡하지 않은 |
correspond to | ~와 일치하다; ~에 해당하다 |
▶correspond [agree, tally, match up] + with | ~와 일치하다 |
Presumably, we + can assume + that + [ < when + Javanese subjects + report + expressiveness in music + ≪ using + words + [ for + which + English-speaking subjects + have + no term ] ≫ >, the two groups + of subjects + are not recognizing + the same expressive content ].
1) we (주어) + can assume (동사) + that (목적어/명사절 that) + [ when + ~ + content ].
(= 우리는 that ~이라고 당연히 생각할 수 있다)
2) < when + Javanese subjects (주어) + report (동사) + expressiveness (목적어) + ≪ using +~ + no term ] ≫ >
(= Javanese 연구 대상자들이, ~을 사용해서, 표현된 감정(= expressiveness)을 보고할 때)
【부사절/ when】
→ ≪ using + words + [ for + which + English-speaking subjects + have + no term ] ≫ 【부사구】
(= 단어들을 사용해서)
3) words (선행사) + [ for + which + English-speaking subjects + have + no term ] 【형용사절/which】
→ English-speaking subjects (주어) + have (동사) + no term + for + the words
(= 영어를 말하는 연구 대상자들은 그 말 (the words)에 해당하는 용어 (term) 들이 없다)
→ the words → which로 바꿔서 → 전치사 for와 함께 문장 맨 앞으로 감
→ English-speaking subjects + have + no term + for + which
→ for + which + English-speaking subjects + have + no term
→ which 가 가리키는 words (선행사)뒤에 위치함
→ words (선행사) + [ for + which + English-speaking subjects + have + no term ]
4) groups (주어) + are recognizing (동사)+ content (목적어)
자바어를 말하는 연구 대상자들이, 영어를 말하는 연구 대상자들의 말에는 없는 용어를 사용해서, 음악으로 표현된 감정에 대해 보고할 때, 아마도 우리는, 그 두 연구 대상들은 같은 내용의 감정을 인식하는 것은 당연히 아니라고, 생각할 수 있다.
English | Korean |
presumably | 【문장부사】 아마도, 짐작[추측] 건대 |
assume = presume | 당연히 (~이 사실일 거라) 생각[추정]하다, 여기다 |
subject | 실험[연구] 대상, 피실험자 |
report | (일어난 일/업무 등을) 보고하다, 알리다 |
expressiveness | 풍부한 표현력, @ 표현된 감정 |
▶expressive | 표정이 풍부한; ~을 표현하는 |
term | 용어, (특정한 뜻으로 사용되는) 말 |
recognize | ~을 알아보다, 인지하다 |
content | 내용(물) |
But < more generally >, we + should be + alert + to + the possibility + 《 that + imperfect translations + lead + us + to + imagine + greater agreement + about musical expression + than + we + would + find + ≪ if + we + had + a more nuanced sense ≫ + of + the way + [ the terms + are used + in the respective languages ] 》.
1) < more generally > (부사구)
(= 그러나, 더 일반적으로는)
2) we (주어) + should be (동사) + alert + to + the possibility + 《 that + ~ 》 (명사절/동격의 that)
→ the possibility + 《 that + ~ 》
(= 《 that + ~ 》이라는 + 가능성에 + 주의해야 + 한다)
3) that + imperfect translations (주어) + lead (동사) + us + to + imagine + greater agreement + about musical expression + than + we + would + find
→ agreement = 선행사
→ than = 유사 관계대명사 = that (관계대명사/목적격)
(= 불완전한 번역이 + 음악적인 표현에 있어서 + 우리가 아마도 발견할지도 모를 (일치보다) + 더 많은 일치가 있다고 + 상상하게 할 + (가능성))
4) we + would + find + ≪ if + we + had + a more nuanced sense ≫
→ if ~ had ~ would = 가정법
(= 만일 + 우리가 + 좀 더 의미 차이를 알 수 있는 감각을 가지고 있다면 + 우리가 + 발견할지도 모를)
5) the way (선행사) + [ ( how ) + the terms + are used + in the respective languages ] (형용사절)
→ how는 "단지"이해를 돕기 위해 넣었음
→ 「the way + how」를 같이 쓰면 문법적으로 틀림
(= 그 용어들이 + 각자의 언어(자바어/영어 등)에서 + 사용되는 + 방식)
그러나, 더 일반적으로는, 불완전한 번역이 + 음악적인 표현에 있어서 + 만일 + 우리가 + 그 용어들이 + 각자의 언어(자바어/영어 등)에서 + 사용되는 + 방식에 + 대해 + 좀더 의미 차이를 알 수 있는 감각을 가지고 있다면 + 우리가 + 발견할지도 모를 (일치)보다 + 더 많은 일치가 있다고 + 상상하게 할 + 가능성에 + 주의해야 + 한다
English | Korean |
generally | 일반적으로 |
alert | 주의[경계]하는, 주의를 기울이는, 방심하지 않는 |
translation | 번역 |
lead + a.p. + to + do | 누가 ~하도록 이끌다[유도하다] |
nuance | (의미/소리/색/감정 등의) 미묘한 차이 |
▶nuanced | (차이가) 미묘한, 미묘한 차이가 있는 |
respective | 각자의, 각각의 |
